한 세기의 인고 세월 견뎌 온 예산 봉림리 천년느티나무 칠석제 열려
[스타트뉴스=이철휘 기자]
예산군 봉산면 봉림리는 7일 예산지명 1100주년을 기념한 천년느티나무 칠석제를 개최했다(사진).
이번 칠석제는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칠석제를 변형없이 복원해 고유의 전통문화를 계승, 육성하고 주민 간 화합과 결속을 다지기 위해 열렸다.
이자리에는 황선봉 예산군수를 비롯해 봉산면민, 행정협의단체 회원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전 3시부터 새벽정성, 칠석풍장, 본고사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.
봉림리 천년느티나무는 고려시대부터 마을을 지켜오는 보호수로 수고 27m, 흉고 둘레(지면으로부터 1∼1.2m 높이의 나무 둘레) 610㎝에 달하는 거목이다.
또한 천년느티나무는 고려조 제8대 왕인 현종(1009-1031년) 시절 늙은 어머니를 모시던 한 선비가 잦은 거란족의 침입으로 '효도보다 나라를 위한 충성이 먼저'라는 신념으로 가족을 떠나면서 느티나무 가지를 잘라 심어놓고 간 것이 자라 지금에 이르렀다는 설화가 얽혀져 있다.
선비가 떠난 몇 년 후 고려군이 거란족을 징벌해 나라는 평안해졌으나 결국 선비는 돌아오지 못한 체 선비의 아내는 지아비의 무사 귀환을 기원하며 매일 밤 정안수를 떠 놓고 치성을 드린 후 그 물을 느티나무에 줬다고 전해 내려 온다.
얼마 후 선비의 아내도 세상을 떠났으나 나뭇가지의 둘레는 동산만하고 둥치의 둘레는 장정의 다섯 아름이 되는 큰 나무로 자랐다고 전해오며 주민들이 매년 칠월칠석날 시골 선비의 숭고한 충절과 아낙의 효심을 기리는 칠석제를 올리기 시작했다고 구전을 통해 전해오고 있다.
이렇게 시작된 칠석제는 수 백 년째 해마다 이어져 마을 주민들의 정신적 구심점 역할을 해 오고 있으며 나무의 규모, 수형 등에 있어서도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.
봉림리 천년느티나무 보존회 이세복 회장은 "예산지명이 1100주년을 맞는 올해 봉림리를 지키는 천년느티나무 칠석제를 개최하게 돼 더욱 뜻깊다"며 "봉림리 칠석제가 우리 군을 대표하는 지역 축제로 발돋움하길 기원한다"고 밝혔다.
이철휘 기자 chl1281@naver.com
저작권자 © 한국뉴스연합통신 스타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